
교육부는 4월 15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영유아기 사교육, 정말 필요한가?’를 주제로 직원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강연은 최근 사교육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영유아기 사교육의 실질적 효과와 공교육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강연은 육아정책연구소 김은영 선임연구위원이 맡았다. 김 연구위원은 지난해 발표된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의 책임연구자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 사교육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최근 한국 사회에서 영유아 사교육의 시작 연령은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사교육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0~5세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약 28만 원에 달하며, 고소득 가구의 경우 월 50만 원 이상을 지출하는 사례도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김 연구위원은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은 단기적으로 초등학교 입학 직전의 언어능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 등 주요 발달 지표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장기적으로도 학업 성취나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 효과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영유아기의 과도한 사교육은 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줄이며,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 같은 사회·정서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무분별한 조기교육보다는 발달 단계에 맞춘 적절한 자극과 양육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번 강연을 통해 직원들이 영유아기 발달 특성과 사교육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공교육 정책 수립에 객관성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영유아기 공교육 콘텐츠의 다양화 및 부모 대상 인식 개선 프로그램 확대를 추진하며, 영유아기 사교육의 과도한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에 힘쓸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부모들이 아이를 위해 투자한다는 마음에서 사교육에 몰입하는 현상을 이해하지만, 실증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이고 균형 잡힌 양육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며, “전문가 강연, 온라인 콘텐츠 제작 등을 통해 영유아 교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영유아기 사교육 시장은 1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며, 영어유치원·수학 선행학습·음악 조기교육 등 고비용 사교육 프로그램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대한 실질적 정책 개입과 사회적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