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는 4월 18일, ‘지역인재 육성 지원 사업 추진계획’을 확정‧발표하고, 2025년부터 비수도권 4개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학 입학 전후 단계에서의 지역인재 육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총 123억 원 규모의 예산이 지방비와 함께 투입된다.
이번 사업은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교육부는 2025년부터 RISE를 전면 도입하여, 대학이 지역 혁신의 중심으로서 기능하고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전국 17개 시도와 함께 기본계획 수립, 세부 시행계획 마련, 수행 대학 선정을 진행 중이다.
‘지역인재 육성 지원 사업’ 3대 과제 중심… 입학 전후 단계 지원 강화
‘지역인재 육성 지원 사업’은 다음 세 가지 중점 과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첫째, 고교-대학 연계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고등학생들이 지역 우수 대학에서 심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5년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와 연계하여, 고교생이 지역대학에서 이수한 과목을 고등학교와 대학 모두에서 학점으로 인정받도록 설계된다.
둘째, 지역인재 전형의 확대 및 고도화다. 지역 전략산업 인력 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대학이 특화 전형을 운영하도록 지원하며, 정주 가능성, 발전 가능성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선발 체계도 개발된다.
셋째, 입학 전 교육과정(Pre-College) 운영이다. 입학 예정자에게 전공 기초역량 및 대학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사전 교육과정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학업성과 향상을 도모한다.
광주·전남의 반등 계기 될까… “글로컬 대학 실패 경험 반복하지 말아야”
이번 사업은 특히 광주광역시와 전남대학교의 향후 참여 여부와 성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두 기관은 그동안 정부가 추진한 글로컬대학 30 사업에서 잇따라 탈락하면서 지역대학 혁신 주체로서의 경쟁력 부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광주·전남은 전략 부재와 실행력 부족으로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교육계는 이번 ‘지역인재 육성 지원 사업’을 광주·전남권의 정책 반등의 시험대로 보고 있다. RISE 계획과 본 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고교·대학·지자체가 적극 협업한다면 이번에는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함께 나오고 있다.
범부처 연계 가능… 의료·공학 인재 양성 모델도 다양화
교육부는 본 사업을 보건복지부·산업부 등 타 부처 사업과 연계하여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완결형 인재육성 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고교 단계 심화교육, ▲의대 지역인재전형 확대, ▲Pre-College 교육, ▲지역 의료기관 연계 실습, ▲정주 지원 등을 결합하면 필수의료인력 양성이 가능하다. 공학계열의 경우에는 ▲물리 심화교육, ▲지역앵커기업과 공동기술개발(RAPID) 참여 등을 통해 공학인재 양성 생태계도 구성할 수 있다.
5월 9일까지 계획서 제출… “지역 역량이 성패 좌우할 것”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지역은 대학 및 교육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오는 5월 9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세부 제출 방식은 교육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이번 사업은 지자체, 대학, 교육청이 함께 협력해 입학 전후 단계의 통합적 인재육성 모델을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우수 모델은 다른 지역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전남 지역이 그동안 반복했던 전략 부재와 실행력 부족을 극복하고, 이번에는 국가 정책에 발맞춰 실질적인 지역 인재육성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